2017/GitHub
02. Github 기본 사용법 : 네이버 블로그
반원_SemiCircle
2017. 2. 15. 18:49
■ 복습 -GitHub : 전 세계의 오픈소스가 모이는 거대한 저장소 -> 오픈소스 프로그램 활용 시 중요
■ 학습목표 :GitHub의 오픈소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
방법 2) realeases로 들어가 필요한 버전을 다운받는다 -여기서 보여지는 버전은 COMMIT하고는 다른 , 프로젝트 멤버가 정식적으로 배포하는 공식 버전을 뜻한다.
※ GitHub에 올라온 프로젝트들은 기본적으로 오픈소스여서 사회적으로 자유롭게 써도 된다는 분위기이나, 라이센스에 따라 사용 방법이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해야한다.
■ GitHub 저장소 복제 방법 - 원격 저장소에 있는 오픈 소스를 자신의 지역 저장소에 다운로드 받아서 수정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자
HTTPS와 SSH(두번째 박스 오른쪽 상단에 조그만 글씨) 두 가지 모두 사용 가능하다. 박스안의 주소를 복사(copy)하면 되는데, 이 주소를 통해서 접근하면 git클라이언트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복사할 수 있다.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사용자의 작업 도구나 작업환경에서의 특정프로그램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, eclipse, visual studio 등에서 git형식 import나 svn을 이용할 때 위의 주소(URL)를 입력하여 복제한다.
Linux Terminal 기준 1. 저장소로 쓸 적당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. 2. 다음을 입력한다. git clone 붙여넣을주소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jquery/jquery.git 3. 다운로드가 되면서 해당 디렉토리에 프로젝트가 다운받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. 파일 목록확인 리눅스 명령어 : ls -al 4. git log라고 치면 지역저장소의 해당 프로젝트 버전 등을 알 수 있다. 5. 각자의 에디터에서 파일을 변경한다. 6. git status 명령어로 어떤 파일이 바뀌었는지 알 수 있다. 7. git add 파일명 을 입력하여 Commit가능한 상태로 바꾼다. 8. git commit -m '커밋설명' 를 치면 해당 프로젝트가 commit되어진다.
■ 원본 저장소에 COMMIT 할 수 있는 사람은 contributors에 해당되는 사람들이다. 즉, 원격저장소의 오픈소스를 복제하여 사용 가능하지만, 원본은 승인된 사람들에게만 열려있다.
■ 요약 다운로드 - 안내되어 있는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 - 저장소의 Release를 통해서 압축된 형식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 복제 - git clone 저장소의 주소로 지역 저장소로 복제할 수 있음 - 이미 존재하는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원격 저장소 내용을 복제하여 지역 저장소를 만듬
|